좀 쉬어가는 챕터였다.장 길이도 매우 짧고 연습문제도 엄밀한 증명없이 대부분 예시를 보여 증명한다. 4. 172쪽에 나온 다음 주장이 참임을 보여라임의의 $n \times n$기본행렬을 얻는 방법은 적어도 두가지($I_n$에 기본행연산을 적용하거나 $I_n$에 기본열연산을 적용)가 있다.꽤나 자명하다. 단위행렬에서 $i$열과 $j$열을 교환하는건 $i$행과 $j$행을 교환하는 것과 동일하다.이는 2형, 3형 연산에 대해서도 성립한다.한가지 의문인건 "적어도"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것.한 연산에 대해서 세가지 이상의 방법은 아무리 생각해도 없는데.아마 기본행[열]연산을 2번 이상 적용한 기본행렬에 대해서 말하는거 같긴하다.($i$행, $j$행 적용 = $i$행, $j$열 적용 = $i$열, $j$행 적용 ..